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ocker-compose
- 도커예제
- Expo #SpringBoot #네아로
- mysql
- Jenkins
- 데이터볼륨
- 프로그래머스
- git
- 도커실행
- Jenkins port 변경
- FIRST원칙
- Docker설치
- 도커
- 알고리즘
- CleanCode
- F.I.R.S.T
- Elasticsearch
- 자바
- springboot
- Jenkins설치
- Nginx
- docker
- MySQL 인덱스
- MongoDB설치 및 환경설정
- 북노트
- mysql index
- MongoDB
- Docker기본개념
- Springboot+Docker 초기설정
- elk
- Today
- Total
MEMO
AWS EC2 에 MongoDB 설치하기 + 환경설정 본문
AWS EC2 Amazon Linux2 에 MongoDB 를 설치하고, 환경설정을 합니다.
MongoDB 설치
MongoDB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MongoDB 에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을 생성해야 합니다.
root 권한을 가지고 있는 user 로 접속하거나 sudo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.
vi /etc/yum.repos.d/mongodb-org-4.0.repo 입력 후 다음 내용으로 저장합니다.
[mongodb-org-4.0] name=MongoDB Repository baseurl=https://repo.mongodb.org/yum/amazon/2013.03/mongodb-org/4.0/x86_64/ gpgcheck=1 enabled=1 gpgkey=https://www.mongodb.org/static/pgp/server-4.0.asc |
yum install -y mongodb-org |
간단하게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.
mongo --version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MongoDB 환경설정
저는 mongoDB 외부 접속을 허용할것이기 때문에, bindIp 설정과 보안설정을 따로 해주도록 하겠습니다.
MongoDB 설정은 vi /etc/mongod.conf 파일에서 진행하면 됩니다.
# mongod.conf
# for documentation of all options, see: # http://docs.mongodb.org/manual/reference/configuration-options/
# where to write logging data. systemLog: destination: file logAppend: true path: /var/log/mongodb/mongod.log
# Where and how to store data. storage: dbPath: /var/lib/mongo journal: enabled: true # engine: # mmapv1: # wiredTiger:
# how the process runs processManagement: fork: true # fork and run in background pidFilePath: /var/run/mongodb/mongod.pid # location of pidfile timeZoneInfo: /usr/share/zoneinfo
# network interfaces net: port: 27017 #bindIp: 127.0.0.1 #bindIp 주석을 해제하고 local이 아닌 외부 IP 접속도 가능하게 합니다.
#security: authorization: enabled 설정을 추가하여 보안 설정을 추가해 줍니다. security: authorization: enabled #operationProfiling:
#replication:
#sharding:
## Enterprise-Only Options
#auditLog:
#snmp: |
설정값 변경 후에는 service mongod restart 를 이용해 mongodb 를 재시동 해주어야 적용이 완료 됩니다.
위 설정파일에서 port 는 27017 로 나와있습니다. EC2 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Port[27017] 에 대한 인바운드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.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enkins] SpringBoot + Git + Jenkins 배포하기 (0) | 2019.05.28 |
---|---|
Linux 에 Jenkins 설치하기 & Jenkins 포트 변경 (0) | 2019.05.28 |
AWS 프리티어 EC2 생성하기 (0) | 2019.05.27 |